- PDTS소개
-
목회자예수제자훈련학교(PDTS)에 오신 여러분을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환영합니다.
사도 요한이 세례요한에 대해서 “하나님께로서부터 보내심을
받은 사람이 있으니 그의 이름은 요한이라“(요1:6)라고 소개하였습니다.
여러분을 여기까지 인도하신 분은 하나님이십니다.
그렇기에 저는 여러분에 대해서 예수 안에서 큰 소망이 있습니다.
여러분 중에는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겪으면서 오신 분도 있을 것입니다.
아직도 아픔을 해소하지 못한 채 상처를 그대로 가지고 오신이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새로운 일을 시작하면서 주의 은혜가 필요하신 분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잠시 모든 일을 중단하고 주님 앞에 머물며
새 힘을 얻어야 할 분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어떤 형편에 있다 하여도 한 가지 공통되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기대입니다.
나를 부르시고 훈련시키시는데 대한 기대 말입니다.
하나님은 여러분 가운데 선한 일을 계획하시고
능히 그 일을 이루시는 분이십니다.
상한 심령은 싸매시고, 약한 자는 강하게 하시고, 잃어버린 부분은 되찾고,
무너진 영역을 새롭게 건축하는 일을 하실 것입니다.
내가 누구인지를 알므로 기쁘게 자신을 헌신하게 하실 것입니다.
그는 여러분에게 열방을 제자로 삼게 하는 일을 하게 하실 것입니다!
주님의 은혜로우신 손길은 홀로 주님 앞에 머물 때 뿐 아니라
함께 더불어 살 때도 나타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공동체를 이루며 함께 주님께 나아갑니다.
하나님께 마음을 항상 열어 놓으십시오.
간절한 마음, 갈망하는 마음을 가지고 예수님의 발아래서 배우십시오.
여러분에게 주어진 모든 기회들을 통해서 훈련을 받으십시오.
이 같은 놀라운 일들이 여러분의 삶에 이루어지도록
기도하면서 섬길 것입니다.여러분 모두를 사랑합니다.
pdts 김형중 형제목회자 예수제자훈련학교(PDTS) 소개
1.학교(PDTS:Discipleship Training School for Pastors)에 대한소개
PDTS는 16주(또는 15주)의 강의와 3주의 단기현장실습을 통해 이루어지는 목회자부부를 위한 집중적인 제자 훈련 과정이다. PDTS는 학생들 개개인에게 다음과 같은 것들이 개발되고 훈련되도록 짜여져 있다. 즉 하나님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를 회복케 하며, 옛 성품을 벗어버리고 그리스도의 성품으로의 성숙케 하며, 이웃사람들과 온 땅에 대한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깨닫고, 학생 개인을 향한 하나님의 부르심과 은사를 재확인하고, “모든 나라를 제자 삼으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르심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 등이다.
◉◈ 한편 PDTS 훈련은 아래와 같은 기반을 세우기 위해 노력한다. ◈◉
3. 성경적 재정원칙 : 성경적 재정원칙에 따라 아버지로 부터
나의 필요를 공급 받으며 날르 통해서
다른 이웃까지 부요케 해주는 삶의 기반
2. 하나님의 사고방식 : 아버지의 사고방식 즉 아버지의 생각으로
만물안에 가장 소중한 가치를 보고 판단
하고 수용하며 용납하는 삶의 기반.
1. 하나님의 음성듣는 삶 : 아버지의 음성을 듣는 삶으로 모든 삶
의 현장에서 적용하여 순종하며 믿음
으로 사는 사람의 기반2. 학과내용
1) PDTS 훈련을 통해 다음의 두 가지 즉 삶에 대한 성경적 원칙들을 강의로 듣고, 원칙들을 겸손함과 섬김의 마음으로 삶에 실제로 적용하여 삶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숙하도록 한다.
강의내용(CONTENT) × 삶에 적용(PROCESS) = 새사람(RESULTS)
삶에대한성경적 원칙들 겸손과 섬김을 기반으로 하는 적용 훈련의 결과들(열매, 제자)
2) 강의 내용(CONTENT)은 아래의 5R(Relations)과 8MM(Mind Molders)을 중심으로 한다.
❍ 다섯 가지 관계(5-Relationship)
① 하나님 아버지와 나
② 나와 나 자신
③ 나와 믿는 이웃
④ 나와 잃어버린 영혼
⑤ 나와 원수
❍ 여덟 가지 사고 형성 분야(8-Mind Molders)
- 정치, 경제, 교육, 매스컴, 예술, 종교, 가정, 과학기술(Computer)
※ 훈련 가운데 항상 생각해야 하는 질문 ※
1.
강의 및 모든 프로그램을 통해서 하나님 아버지께서 나에게 무엇을 말씀하고
계신가에 초점을 맞추십시오. 하나님과의 친밀함!
2.
강의 내용을 통하여 나 자신과 나의 삶에 적용하며 배우는데 집중하십시오.
3.
학생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배우십시오.
(목회자의 입장에서 자신이 가르치는 사람이 되어 평가하고 판단하고 있는지...)
4.
내가 이해하기 힘든 상황과 이웃관계에서 주님은 자신에게 무엇을 배우기를
원하시는지 들으십시오. 기다림은 하나님의 성품입니다.
(부딪치는 이웃에게 초점을 두고 있는가? 아니면 항상 나 자신을 돌아보고 나를
가르치시려는 주님께 집중하고 있는지....)
5.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으로 열방을 바라보시며 잃어버린 영혼을 향한 아버지의
마음을 품고 찾아가 접근하십시오.
3. 삶의 적용(Process)예배, 소그룹, 묵상, 중보기도, 애찬식, 독후감(Book Report), 작업, 적용계획 및 결과 보고서, 단기현장 실습(Outreach)을 통하여 삶 속에서 실제로 적용한다.
❍ 예 배우리의 모든 일은 예배로부터 시작된다. 하나님을 예배함으로 하나님의 임재하심을 경험하게 되며, 예배를 통하여 치유하심도 경험케 된다. 예배는 찬양인도자의 찬양인도와 예배 인도자의 말씀으로 진행된다.
❍ 소그룹(Flock Groups)
강의내용이 우리의 삶에 실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적용하기 어려운 점들은 무엇인지,
적용한 결과가 어떠했는가를 나누고 성령의 인도하심을 배우는 시간이다.
❍ 묵 상
모든 훈련의 가장 기초로써 말씀 묵상을 통해서 하나님과 보다 더 친밀한 관계를 회복하도록 하며 조원들과의 묵상 내용을 나눔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더 풍성하게 한다.
❍ 중보기도
하나님께서 어떤 마음과 계획을 가지고 계신지를 알아, 예수님의 중보사역에 동참하는 것을 배운다.